2. 용어정리(부지/대지/빈지/포락지/소지/선하지/획지/표본지/이행지/맹지/공지/후보지/법지)

1. 부지는 건부지 중 건물을 제외하고 남은 부분의 토지로, 건축법령에 의한 건폐율 등의 제한으로 인해 필지 내에 비어있는 토지를 말한다. 30회
정답:(X) 부지가 아니고 공지이다.
2. 대지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과 부동산 등기 법령에서 정한 하나의 등록단위로 표시하는 도지를 말한다. 30회
정답:(X) 부동산등기법령에서 정한하나의 등록단위는 대지가 아니고 필지이다
3. 빈지는 과거에는 소유권이 인정되는 전답 등이었으나, 지반이 절토되어 무너져 내린 토지로 바다나 하천으로 변한 토지를 말한다. 30회
정답:(X) 바다나 하천으로 변한 토지는 빈지가 아니고 포락지이다.
4. 포락지는 소유권이 인정되지 않는 바다와 육지 사이의 해변토지를 말한다. 30회
정답:(X) 소유권이 인정되지 않는 바다와 육지 사이의 해변 토지는 빈지이다.
5. 소지는 대지 등으로 개발되기 이전의 자연 상태로서의 토지를 말한다. 30회
정답:(O) 소지는 대지 등으로 개발되기 이전의 자연 상태로서의 토지를 말한다.
6. 택지는 주거 · 상업 · 공업용지 등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거나 해당 용도로 이용할 목적으로 조성된 토지를 말한다. 29회
정답:(O)
7. 획지는 용도상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2필지 이상의 일단의 토지를 말한다. 29회
정답:(X) 획지란 인위적. 자연적. 행정적 조건에 따라 다른 토지와 구별되는 가격 수준이 비슷한 일단의 토지를 말한다.
8. 표본지는 지가의 공시를 위해 가지 형성 요인이 같거나 유사하다고 인정되는 일단의 토지 중에서 선정한 토지를 말한다. 29회
정답:(X) 지가의 공시를 위해 가지형성요인이 같거나 유사하다고 인정되는 일단의 토지 중에서 선정한 토지를 표준지라고 한다.
*표본지: 지가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정한 대표적인 필지를 말한다.
9. 이행지는 택지지역 농지지역 · 임지지역 상호 간에 다른 지역으로 전환되고 있는 일단의 토지를 말한다. 29회
정답:(X) 택지지역 농지지역 · 임지지역 상호 간에 → 택지지역 농지지역 · 임지지역 내에서(O)
10. 부지는 도로부지, 하천부지와 같이 일정한 용도로 이용되는 토지를 말한다. 28회
정답:(O) 부지는 도로부지, 하천부지와 같이 일정한 용도로 이용되는 토지를 말한다.
11. 선하지는 고압선 아래의 토지로 이용 및 거래의 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다. 28회
정답:(O) 선하지는 고압선 아래의 토지로 이용 및 거래의 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다
12. 맹지(盲地)는 도로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한 필지의 토지다. 28회
정답:(O) 맹지(盲地)는 도로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한 필지의 토지다.
13. 후보지는 임지지역, 농지지역, 택지지역 상호간에 다른 지역으로 전환되고 있는 어느 지역의 토지를 말한다. 28회
정답:(O) 후보지는 임지지역, 농지지역, 택지지역 상호간에 다른 지역으로 전환되고 있는 어느 지역의 토지를 말한다.
14. 빈지는 물에 의한 침식으로 인해 수면 아래로 잠기거나 하천으로 변한 토지를 말한다. 28회
정답:(X) 물에 의한 침식으로 인해 수면 아래로 잠기거나 하천으로 변한 토지를 말한다. ← 포락지
15. 공지는 지력회복을 위해 정상적으로 쉬게 하는 토지를 말한다. 24회
정답:(X) 지력회복을 위해 정상적으로 쉬게 하는 토지는 휴한지이다.
16. 맹지는 타인의 토지에 둘러싸여 도로와 접하고 있지 않은 토지를 말한다. 24회
정답:(O) 맹지는 타인의 토지에 둘러싸여 도로와 접하고 있지 않은 토지를 말한다.
17. 획지는 하나의 지번을 가진 토지등기의 한 단위를 말한다. 24회
정답:(X) 하나의 지번을 가진 토지등기의 한 단위는 필지이다.
18. 후보지는 임지지역, 농지지역, 택지지역 상호간에 다른 지역으로 전환되고 있는 지역의 토지를 말한다. 24회
정답:(O) 후보지는 임지지역, 농지지역, 택지지역 상호간에 다른 지역으로 전환되고 있는 지역의 토지를 말한다.
19. 빈지는 소유권은 인정되지만 이용 실익이 없거나 적은 토지를 말한다. 24회
정답:(X) 빈지는 소유권은 인정되지 않는 바다와 육지사이의 해변토지를 말한다.
출처: 공인중개사 기출 시험문제 20회~32회